‘ 천천히, 느리지만 우리 함께 ’
사업안내 사업안내
직 업 상 담 ․ 평 가 |
직업상담 | 신규이용자 기초정보 수집 진로 및 취업 등 훈련방향 설정을 위한 본인 및 보호자 상담 |
---|---|---|
직업평가 | 재활계획 수립 및 직업적 방향성 설정을 위한 평가 진행 ㆍ상황평가 ㆍ손기민성 검사(Perduepeg board Test) |
|
개별화 직업재활계획 수립 | 직업평가 결과를 토대로 재활계획 회의를 통해 개별 맞춤형 직업재활계획 및 직업적응훈련계획 수립 |
|
서비스 과정평가 | 개인별 직업재활계획 목표 달성 확인 및 서비스 방향 재조정 |
|
사례회의 | 입소적격 여부, 직업재활계획 및 직업적응훈련계획 수립, 서비스 중단 및 종결 등의 직업재활서비스 과정 전반에 대한 사례회의 진행 |
|
직 업 적 응 훈 련 |
재활기능 기초훈련 | 신변자립 및 독립생활에 필요한 기초기능 습득을 위한 훈련 기초적 생활기능, 건강관리 기능, 의사소통 기능, 대인 및 사회 기능, 고용 및 직업준비 기능, 이동기능, 시간관리 기능, 개인별 재정관리 기능, 생활학습 기능, 운동 및 지각 기능 |
직업기초 기능훈련 | 직업적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고 직업관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직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작업습관을 형성하고 적응토록 하여 사회적․경제적 자립 및 직업생활의 발판 마련 직무수행(바리스타, 사서보조), 직업훈련, 노동관련 프로그램, 보상기능훈련 |
|
직업생활 기초훈련 | 직업생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일상생활 및 작업습관 습득을 목표로 한 기초훈련 작업습관 형성훈련 |
|
직 무 개 발 및 고 용 전 이 |
서비스 의뢰 | 훈련생에게 적합하고 필요한 사회복지시설, 의료기관 등으로 서비스 의뢰 |
취업 알선 | 직무능력 및 욕구를 파악하여 적합한 취업처로 알선 |
|
취업 (보호, 지원, 일반) | 보호작업장, 표준사업장, 근로사업장, 일반사업체 등 경쟁적 고용시장으로의 전이 |
|
취업 후 적응지도 | 취업처 방문, 유선 격려 등 취업 후 적응 및 직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진행 |
|
업체개발 및 관리 | 취업처 및 훈련물품 업체 개발 및 관리 |